본 포스팅은 산업 안전 보건 교육 문제에 대한 교육자료 입니다. 해당 업종은 산업 안전 보건 교육을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고, 분기에 한번 씩 교육이 진행되며, 교육 후 평가를 통해 합격해야 합니다. 교육과 평가가 진행되지 않으면 사업주에게 책임을 물어 벌금이 부과되므로 반드시 모든 근로자는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산업 안전 보건 교육 해당 업종
산업 안전 보건 교육을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 업종은 한국표준산업분류 기준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해당 기업이 교육 대상 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고용보험 가입 업종명 및 업종 코드로 확인해야 하며, 통계청 자료를 통한 업종 분류를 확인해야 합니다.
구체적인 확인 방법은 산업 안전 보건 교육 가이드북을 참고하시기 바라며, 본 포스팅은 교육 내용 중에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을 위주로 문답식으로 정리하고 있으며, 산업 안전 보건 교육 문제를 요약하고 있습니다.
산업 안전 보건 교육 문제 요약
산업 안전 보건 교육 문제 (산업 안전 보건법과 안전 정책)
산업안전보건법의 목적은 책임 소재를 따지기 위함은 아닙니다. 산업안전 보건의 기준을 확립하고 산재 예방과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함이며, 노무를 제공하는자의 안전보건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①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기준확립
② 책임의 소재의 불분명 (정답)
③ 산재예방 및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
④ 노무를 제공하는 자의 안전보건 유지
산업안전보건법의 특징은 기술성과 강행성, 규제성 입니다. 단순성은 산업안전보건법의 특징이 아닙니다.
① 기술성
② 단순성 (정답)
③ 강행성
④ 규제성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주의 의무는 안전보건에 관한 정보를 근로자에게 제공하고, 산업재해발생 기록 및 보고를 해야하며, 유해 또는 위험 기계 기구에 대한 방호조치 입니다. 근로자를 위한 안전보건교육을 하지 않는 것은 사업주의 의무를 다하지 않는 것입니다.
① 근로자를 위한 안전보건교육 미실시 (정답)
② 안전보건에 관한 정보를 근로자에게 제공할 것
③ 산업재해발생 기록 및 보고
④ 유해·위험기계기구의 방호조치
산업 안전 보건 교육 문제 (업무상 재해와 산업 재해 보상 제도)
업무상재해의 의미는 업무를 보다가 근로자의 부상이나 질병, 장해, 사망이 발생할 경우 입니다.
① 업무상의 사유에 따른 근로자의 부상 · 질병 · 장해 · 사망을 말한다. (정답)
② 근로자의 부상 · 질병, 사망이 업무와 연관이 없어도 업무상재해다.
③ 업무상재해는 사업장내에서만 해당된다.
④ 업무상재해는 근로자의 부상이나 장해·사망만 해당된다.
근로자가 고의로 자해하는 행위는 업무상재해의 인정기준이 아닙니다.
① 업무상사고 또는 질병으로 재해가 발생해야 한다.
② 업무와 재해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어야 한다.
③ 근로자의 고의·자해행위도 업무상재해이다. (정답)
④ 사업장밖에서도 업무와 인과관계가 있다면 업무상재해이다.
사업장에서 작업시간 중 일어난 사고이거나 회사 통근 차량을 이용하다가 출퇴근 중에 일어난 사고, 업무로 인해 출장중에 일어난 사고가 아닌, 집에서 자해로 일어난 사고는 업무상재해로 인정되는 사고사례가 아닙니다.
① 사업장에서 작업시간 중 일어난 사고
② 사업주가 제공하는 통근차량을 차고 출근 중에 일어난 사고
③ 업무로 출장 중에 일어난 사고
④ 집에서 자해로 일어난 사고 (정답)
산업 안전 보건 교육 문제 (사고 발생시 응급 조치)
위급한 상황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고 뜻하지 않은 사고로 위기에 처한 대상에게 처치와 보호를 통해서 고통을 덜어주고 생명을 구할 수 있도록 돕는 활동을 응급처치라고 합니다.
① 학습활동
② 응급처치 (정답)
③ 생명활동
④ 자연보호
응급처치의 목적은 생명을 구조하고 장애의 정도를 경감시키며, 통증을 감소하는 것으로 응급환자의 상처를 축소하는 게 목적은 아닙니다.
① 응급환자의 생명구조
② 응급환자의 장애의 정도 경감
③ 응급환자의 통증 감소
④ 응급환자의 상처 축소 (정답)
사고 발생시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현장조사이며, 이후 구조요청을 하고, 상태 파악 후 조치, 그리고 안정화 단계가 올바른 순서 입니다.
① 현장조사 → 구조요청 → 상태 파악 후 조치 → 안정화 (정답)
② 현장조사 → 상태파악 후 조치 → 구조요청 → 안정화
③ 구조요청 → 상태파악 후 조치 → 현장조사 → 안정화
④ 안정화 → 구조요청 → 상태파악 후 조치 → 현장조사
산업 안전 보건 교육 문제 (사고와 안전 의식)
안전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는 위험이 생기거나 사고가 날 염려가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① 위험이 생기거나 사고가 날 염려가 없는 상태 (정답)
② 사고가 나도 위험하지 않는 상태
③ 위험이 있어도 사고가 날 염려가 없는 상태
④ 사고가 나지 않고 위험한 상태
안전에 대해 무감각 하거나, 안전한 상황이 아닌데도 안전하다고 느끼는 경우, 그리고 안전수칙 등 안전에 대한 기본상식이 없는 경우를 안전불감증이라고 합니다. 안전한 상황이고 안전하다고 느끼는 것은 안전불감증이 아닙니다.
① 안전에 대해 무감각한 것을 말한다.
② 안전한 상황이고, 안전하다고 느끼는 것을 말한다. (정답)
③ 안전한 상황이 아닌데 안전하다고 느끼는 것을 말한다.
④ 안전수칙 등 안전에 대한 기본상식이 없는 것을 말한다.
업무를 하는데 빨리 빨리, 대충 대충, 설마 설마 하는 의식은 불안전의식의 일종입니다.
① 빨리빨리 의식
② 대충대충 의식
③ 설마설마 의식
④ 성공의식 (정답)
산업 안전 보건 교육 문제 (감정 노동과 안전)
감정노동은 항공사 패스트푸드점, 호텔, 편의점 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에게 주로 발생합니다. 감정노동 역시 업무상 재해에 속하며, 표출행위와 진심행위 등의 특성이 있습니다.
① 감정노동은 항공사, 패스트푸드점, 호텔, 편의점 등의 근로자들에게 주로 발생한다. (정답)
② 감정노동은 업무상재해에 속하지 않는다.
③ 감정노동은 표출행위와 진심행위의 특성이 있다.
④ 경찰관 등은 감정노동에 속하지 않는다.
감정노동의 방식에 따른 직업군 분류를 보면, 고객을 직접 대하지 않지만 전화 통화, 문의, 상담 등의 업무를 보는 분들과 고객과 직접 대면하면서 업무를 보는 분들, 그리고 사적영역에서 사람 돌봄을 하는 분들이 감정노동군에 속합니다.
① 고객을 직접 대면하지 않지만 전화통화 문의 상담 등을 감정노동군
② 고객과의 대면적인 감정노동군
③ 사적영역에서 사람 돌봄으로 인한 고객 감정노동군
④ 사적영역에서 민원처리를 인한 감정노동군 (정답)
구청직원이나 주민자치센터 직원, 그리고 경찰은 공공서비스영역 민원처리로 인한 감정노동군 직업군이며, 콜센터 상담원은 사적영역 감정노동 직업군 입니다.
① 구청직원
② 주민자치센터 직원
③ 경찰
④ 콜센터 상담원 (정답)
산업 안전 보건 교육 문제 (도소매 서비스업 근로자의 건강 장해 예방)
서비스직 근로자의 건강장해에는 우리가 일하는 환경에서 실내공기질, 조명, 공간, 온도 등에서 생기는 신체적 정신적 질병입니다.
① 우리가 일하는 작업환경에서 실내공기질, 조명, 작업공간, 온도 등에 의해서 생기는 신체적, 정신적 질병을 말한다. (정답)
② 우리가 생활하는 집의 실내공기질, 조명, 작업공간, 온도 등에 의해서 생기는 신체적, 정신적 질병을 말한다.
③ 우리가 일하는 작업환경에서 실내공기질, 조명, 작업공간, 온도 등과는 상관없이 생기는 신체적, 정신적 질병을 말한다.
④ 우리가 생활하는 집의 실내공기질, 조명, 작업공간, 온도 등과는 상관없이 생기는 신체적, 정신적 질병을 말한다.
서비스직 근로자들의 건강장해 요인은 작업환경이나 작업조건, 건강문제요인이 해당되며, 사고와 상관없는 요인적 건강장해는 아닙니다.
① 작업환경적 건강장해
② 작업조건적 건강장해
③ 건강문제요인적 건강장해
④ 사고와 상관없는 요인적 건강장해 (정답)
실내 공기질과 공기오염물질, 호흡성 분진은 서비스직 근로자들의 건강유해인에 설명이고 조명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① 근무하는 현장의 실내공기의 질
② 근무하는 현장의 실내 공기오염물질
③ 근무하는 현장의 호흡성 분진
④ 충분한 조명 (정답)
이상으로 산업 안전 보건 교육 문제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드렸습니다. 항상 안전한 업무의식을 가지고 근무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