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급여 인상 지급 기준 안내(ft. 2025년)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제가 육아휴직급여를 신청할 나이는 아니지만, 저출산 시대에 아이를 낳는 분들을 위한 육아휴직급여 인상 소식이 있어 기쁜 마음으로 전해드립니다. 뭐든 나라돈을 받으면 기분 좋은 일인데, 매달 월급처럼 들어오는 육아휴직급여는 사실 아이를 키우는 모든 부모님들에게는 꼭 필요한 지원제도라 생각됩니다.

육아휴직급여는 부모가 자녀를 낳고 육아를 위해 휴직을 취할 때, 그 기간 동안 나라에서 해당 가구에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한미디로 요약하면, 부모가 육아와 직장 생활을 병행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된 제도이죠.

육아휴직급여 지급 기준

지급 대상

육아휴직을 신청할 수 있는 근로자는 정규직이든 비정규직이든 상관 없습니다. 어떤 형태의 근로자라도 자녀가 태어난 날로부터 8년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돌보기 위해 휴직을 한다면 급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지급 조건

2025년 부터 급여가 대폭 인상 되었지만, 지급 조건은 동일합니다. 육아휴직은 기본적으로 최대 1년까지 휴직 할 수 있기에 육아휴직급여도 최대 1년 동안 받을 수 있습니다. 기간 동안 지급 한도가 정해져 있지만, 휴직 직전 3개월의 평균 임금을 기준으로 산정되기 때문에 개인 마다 받을 수 있는 급여에 차이가 있습니다.

육아휴직급여 인상은 얼마나?

육아휴직급여 인상이 2025년 부터 대폭 인상 되었다는데, 또 생색내기 쥐꼬리만큼 오른걸 가지고 언론에서 정부 정책 광고하는게 아닌가 했네요. 그런데 얼마나 인상되었는지 2024년과 비교해보니까 이거 꽤 짭잘 달콤한 수준입니다.


2024년 까지

거두절미하고 이전 급여체계를 요약하면 월 최대 150만원 까지만 지급이 되었고, 그나마 휴직기간 동안 받는 금액의 25%는 육아휴직을 마치고 직장에 복귀하고 나서 6개월 뒤에 사후 지급되었습니다.

육아휴직급여를 신청하는 이유가 휴직 기간 동안 경제적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인데, 사후지급이라니….사실 이런 조항이 왜 만들어 진건지 영 못마땅했거든요.

2025년 부터

다행히 정부에서 제시한 인상 수준은 생색내기 정도는 아닙니다. 기존 월 최대 150만원까지 지급하던 것을 2025년 부터는 월 최대 250만원 까지 대폭 인상되어 지급합니다. 또한, 치사하게 25%는 직장에 복귀 후 사후 지급한다는 조항도 없어지고, 오로지 육아휴직 기간 동안 전액 다 받을 수 있다는 점도 만족한 내용이네요.

인상분이 반영된 최대 250만원은 알았으니, 좀더 구체적으로 육아휴지급여 인상분이 지급되는 구조를 살펴볼게요. 대부분 직장인들은 육아휴직은 1년을 사용하고 싶어하는데, 12개월을 기준으로 급여는 3단계로 나뉘어 지급됩니다.

  • 초기 3개월: 통상임금의 100%를 지급하며, 월 상한액은 250만 원
  • 이후 3개월: 통상임금의 100%를 지급하며, 월 상한액은 200만 원
  • 이후 6개월: 통상임금의 80%를 지급하며, 월 상한액은 160만 원

이렇게 육아휴직급여 인상이되면, 기존에 12개월 동안 최대 1,800만원을 지원 받았지만, 올해부터는 2,310만원을 지원 받는 규모입니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내 자식을 키우면서 월평균 200만원 가까이 경제적 지원이 된다면 정말 감사한 일이 아닐 수없습니다.

기타 꿀팁 정보

육아휴직급여 상향 지원

육아휴직급여 인상에 이어 추가적인 지원을 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요즘은 아이를 위해 부모가 함께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정부에서도 장려하고 있는 일이구요. 이런 경우에는 “6+6 부모육아휴직제”로 두 부모가 육아휴직을 나누어 쓰면 각자 급여를 받을 수 있는 방식입니다. 이 제도가 필요한 분들도 있겠네요. 또한, 추가로 다중 자녀 육아휴직이 적용되는 가정은 추가적인 지원이 있습니다.

기타 지원 내용

육아휴직급여는 근로자가 직접 신청해야 합니다. 또한, 육아휴직을 들어가기 전에 반드시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급여를 받을 수 있다는 점 참고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급여는 매달 고용보험에서 본인의 계좌로 지급되며, 육아휴직급여를 받는 조건으로 직장에 복귀하면 일정기간 퇴직할 수 없다는 조건이 붙을 수도 있으니, 신청 전 직장내 담당자에게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이상으로 2025년에 개편된 육아휴직급여 인상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참고로 필자가 경험한 바로는 아이를 낳고 육아를 하다보면 와이프가 지치고 힘들고, 우울증 증세를 보일때가 있습니다. 그때 필요한 건 남편의 사랑!! 아래 글을 보면 와이프를 위해 감동의 선물이 어떤건지 알 수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내를 위한 2번째 갱년기 선물! 김희애 르시크릿 에스트로업

휴학생 국가장학금은 어떻게 될까?(ft. 장학금 이연 or 반환)

Leave a Comment